동기
- 회사에서 AWS RDS를 통해 시스템 DB를 구축하는 것을 보았고, 1년간 일부 기능을 무료로 사용할 수 있었기에 자체적으로 실습해봄
Tools
- AWS(mysql, workbench, putty)
- laptop(window)
내용
- aws 계정 가입
- EC2(AWS로 부터 컴퓨터를 빌리는 것) 생성
- linux_Ubuntu를 사용.
- rds(관계형 데이터베이스 시스템)중 Mysql을 생성
- AWS aurora는 사용량에 따라 요금 및 용량을 자동으로 조절하여 DB의 bump을 방지할 수 있는 기능이 있음.
- AWS AURORA를 사용해보았으나 input과 output의 2가지 기능을 따로 분리하는 DB가 자동으로 생성되었음. 해당 부분의 경험이 없었기에 친숙한 mysql을 선택
- mysql은 AURORA와 연동이 될 수 있다고 하여 나중에 연동할 수도 있다고 판단.
- 만약 DB에 들어갈 속성이 한글을 이용할 경우 파라미터 그룹 수정이 필요(aurora는 기본이 utf-8임)
- 보안설정
- VPC 설정
- 해당 EC2에서만 접속할 수 있도록 설정 후 확인 완료
구축 후 느낀 점
- AWS RDS의 경우 크게 4가지 장점이 있음(개인적인 생각)
- 스냅샷을 통한 데이터 손실 방지(기간을 길게 잡으면 비용 상승)
(스냅샷 : 주기적인 데이터 자동 백업) VPC 및 키 로그인 방식으로 보안성 증가- 다른 AWS 툴을 통합적으로 사용할 수 있음(lambda, S3)
- 서버 컴퓨터 대여 가능(putty 사용하여 접속함)
- 스냅샷을 통한 데이터 손실 방지(기간을 길게 잡으면 비용 상승)
- 기업 입장에서 개발비용을 줄이기 위해서는 다른 무료 DB를 사용할 수 있으나 좋은 인프라와 보안성, 증축성을 위해서라면 AWS를 사용하는 것이 좋을 듯 함.
- 예를 들면 한번에 막대한 클라이언트 명령이 들어올 경우 AWS에서는 여러 인프라에 분산시켜서 명령을 수행할 수 있음 - AZ 이용
- 만약 클라이언트가 로컬(어플) 저장소가 아닌 서버에 있는 AI모델이나 서버의 저장소를 이용할 경우, aws_lambda의 웹서버로 쿼리를 던진 후 핸들링 해도 좋을 듯 함.
- 보안성이 좀 떨어지나, Putty를 이용하여 콘솔에서 작업하는 것보다 workbench를 사용하는 것을 선호함.
→ 나중에 기회가 된다면 내 로컬에서 workbench를 이용하여 해당 DB에 접속해 보고 싶음.
20210619(인스턴스를 내렸다가 다시 올리면 설치했던 내용들을 다시 사용할 수 없는 이유를 찾음!)
인스턴스가 아닌 EBS를 사용해야 한다.EBS(elastic block store)가 하드디스크를 빌려주는 서비스라고 한다면, EC2는 하드디스크를 제외한 모든 것을 빌려주는 서비스라고 한다.당연히 인스턴스를 한 번 내렸다가 다시 올리면 하드디스크에 저장된 내용이 아니기에(메모리라고 생각하면 될 듯) 지워진다.
→ 관련 자료를 찾아보니 해당 내용이 아닌 듯 하다. EBS도 EC2 생성 시 기본적으로 내가 8 GB를 설정하였으나 이곳에 저장이 안 되었을 리가 없다....
#AWS #RDS #EC2 #MySQL #Aurora #VPC #보안 #데이터베이스 #클라우드 #인프라 #기술블로그 #AWSLambda #워크벤치 #Putty #EBS MySQL, Aurora, VPC, 보안, 데이터베이스, 클라우드, 인프라, 기술블로그 ,AWSLambda, 워크벤치, Putty, EBS'데이터 엔지니어링 > 데이터 플랫폼' 카테고리의 다른 글
| [성장기]금융회사에서 3년간 혼자 데이터팀을 꾸려온 이야기 (0) | 2025.10.27 |
|---|---|
| 공연을 한국어로 할까... 일본어로 할까... 고민이 된다고 해서 만든 프로그램 (0) | 2025.09.16 |
| [피팅룸]뭐든지 해보라며...? 사업가 친구가 무심코 던진 말 구현해보기 (0) | 2025.09.15 |
| (데옵) 데이터 몇 명이나 본다고 돈을 이만큼 써? (data) 오픈소스로 직접 해봤다![Airbyte] (2) | 2025.08.11 |
| ELK with AWS's EC2, 아무것도 모르고 하라고 해서 한것 (0) | 2025.08.11 |